[지구촌톡톡] 싱가포르·취리히, 생활비 가장 비싼 도시 1위 外<br /><br />▶ 싱가포르·취리히, 생활비 가장 비싼 도시 1위<br /><br />싱가포르와 스위스 취리히가 세계에서 가장 생활비가 비싼 도시로 조사됐다고 블룸버그 통신 등이 보도했습니다.<br /><br />'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'의 '2023 세계 생활비' 보고서에 따르면 싱가포르는 자동차 소유 비용과 함께 비싼 술값과 식료품 가격 상승 등으로 생활비가 비싼 도시 1위로 꼽혔습니다.<br /><br />취리히도 스위스프랑의 강세와 비싼 식료품·가정용품·오락 비용 등으로 지난해 6위에서 공동 1위로 뛰어올랐습니다.<br /><br />이어 뉴욕과 제네바가 공동 3위, 홍콩이 5위에 각각 이름을 올렸습니다.<br /><br />중국 도시들이 순위에서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는데 이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중국 경제의 더딘 회복세와 소비수요 침체 때문으로 분석됐습니다.<br /><br />일본도 엔화 약세로 도쿄는 23계단 하락한 60위, 오사카는 27계단 하락한 70위를 기록하는 등 아시아 도시들의 물가상승률이 비교적 낮았던 것으로 조사됐습니다.<br /><br />▶ 中 올해 복권 판매 급증…청년층에 사행심리 확산<br /><br />올해 중국의 복권 판매가 작년보다 53%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현지 매체가 보도했습니다.<br /><br />중국 재정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∼10월 누적 복권 판매액은 약 86조 200억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53% 증가했습니다.<br /><br />도심 번화가나 관광지에 복권 판매상들은 물론 복권 자동판매기가 속속 들어서고 있으며, 미니 복권 판매기를 갖춘 택시까지 등장했습니다.<br /><br />이 같은 복권 판매 증가는 중국 경기 불황과 관련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지난 6월 청년 실업률이 역대 최고치인 21.3%를 기록하는 등 심각한 구직난 속에 아무것도 하지 않는 '탕핑족'이나, 부모에게 의존하는 '전업 자녀' 등 청년층에서 요행을 노리는 복권 구매가 급증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▶ '보수 재집권' 뉴질랜드, 금연법 폐지 방침에 논란<br /><br />뉴질랜드에서 6년 만에 재집권한 보수 정권이 전 정권에서 제정된 강력한 금연법을 폐기하기로 하면서 논란이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난달 27일 공식 출범한 뉴질랜드 보수 연정이 정책 합의 내용에 금연법 폐지를 담은 것과 관련해 공중보건 전문가들은 "뉴질랜드가 금연 문제를 선도할 것으로 기대했지만 명성을 무너뜨리고 있다.", "공중보건을 파괴하는 행위"라고 비판했습니다.<br /><br />앞서 뉴질랜드는 2027년에 성인이 되는 2009년 출생자부터는 담배를 살 수 없는 강력한 금연법을 통과시켰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최근 새 정부는 내년 3월 이전에 이를 폐지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일각에서는 당국이 세수를 확보하려고 금연법을 폐지하려 한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▶ 네팔서 동성 커플 결혼 등록…남아시아 첫 사례<br /><br />히말라야산맥에 위치한 네팔에서 동성 커플이 처음으로 결혼 등록을 했습니다.<br /><br />지난달 30일 트렌스젠더 여성인 마야 구룽과 남성 수렌드라 판데이는 네팔 수도 카트만두 서쪽 람중 디스트릭트 도르제 마을 사무소에서 결혼 등록을 하고 증명서를 받았습니다.<br /><br />구룽은 트렌스젠더 여성이지만 행정 문서상으로는 아직 성별 변경이 되지 않아 두 사람은 서류상으로는 같은 남성인 셈입니다.<br /><br />이번 동성 커플 간 결혼 등록은 남아시아 첫 사례로 이 커플은 2017년 결혼식을 올리고 함께 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앞서 네팔 대법원은 지난 6월 모든 동성 및 트렌스젠더 커플에게 결혼 등록을 허용하라는 임시명령을 처음으로 정부에 내렸습니다.<br /><br />구룽과 판데이 커플은 이에 따라 마을 사무소에서 결혼 등록을 하려 했으나 거부당한 뒤 법원에 소송까지 냈지만, 기각된 바 있습니다.<br /><br />▶ 미국인 '아보카도 사랑'에 멕시코 숲이 죽어간다<br /><br />미국인들의 '아보카도 사랑'으로 멕시코 숲이 파괴되고 있다는 소식입니다.<br /><br />뉴욕타임스는 미국인의 아보카도 섭취량이 20년 전에 비해 3배 이상 늘었다고 보도했습니다.<br /><br />아보카도가 건강식품의 대명사로 떠오른 데다 다양한 요리에 접목되면서 수요가 급증했기 때문으로 분석했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이 멕시코에서 아보카도를 수입하기 시작한 건 불과 40년 전이지만 이제 양국의 아보카도 무역 규모는 약 3조 5천억 원에 이를 정도로 주요 품목이 됐습니다.<br /><br />문제는 멕시코 서부를 중심으로 아보카도 재배를 위한 불법 삼림 벌채가 성행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아보카도 재배업자, 불법 벌목업자들이 기존의 숲을 밀어버리고 이곳에 아보카도 농장을 짓고, 이 과정에서 대형 화재로 번지는 경우도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습니다. (nhm3115@yna.co.kr)<br /><br />#지구촌톡톡 #지구촌화제 #헤이월드 #해외토픽 #현장포착 #싱가포르 #취리히 #비싼도시 #중국복권 #뉴질랜드 #금연법 #네팔 #동성커플 #아보카도 #멕시코숲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